과부와 땡중
과부와 땡중
조선시대 춘화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 기생과 중(僧) 그리고 과부들 이지요 기생은 삶자체가 술과 웃움을 파는 노류장화(路柳墻花)이니 그렇다 치더라도 중이 빠지지 않는것은 매우 이채로운 일이 아닐수 없어요 이는 두가지 관점에서 살필수 있는데 첫번째는 중들이 득도를 위해 색을 멀리해야 하지만 계율을 어기고 성을 탐닉했던 파계승이 많았기 때문이고 두번째는 실제생활에서 부녀자들이 깊은 산속에 위치한 사찰을 왕래 하면서 많은 기도를 드리다 보니 중들과 빈번하게 만나게 되어 은밀하게 성을 향유했기 때문이라 하지요 그런데 조선 최고의 파계승 선탄(禪坦)스님이 있었어요 탁발스님 선탄은 해학에 능통했을뿐 아니라 시문에도 능한 학식높은 고승이었지요
그러나 불계를 지키지 않고 떠돌아 다니는 파계승이어서 부녀자들과 음행을 즐겼을뿐만 아니라 때로는 기방에도 출입했지요 그런 까닭에 세상에 이름이 널리 알려지긴 했으나 계율을 지키지 않고 떠돌이 생활을 하는
땡중이었지요 이 땡중이 어느날 암자에서 홀로 해탈을 꿈꾸며 정진을 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이웃동네에 사는 젊은 과부가 남편이 죽은지 3년이 되었다고 천도제(薦度祭)를 지내러 소복차림으로 찾아 왔어요 평소 많은 한량들과 염분을 뿌린다는 바람난 과부 였지요 낮에 법당에서 지방을 붙이고 분향을 하고 천도제를 지내다 보니 날이 저물어 산사에서 하루밤을 묵게 되었어요 이게 왠떡이냐!! 평소 여성 편력이 많은 땡중은 벌써부터 마음이 설레었어요 휘엉청 달이 밝은 산사에도 고적함이 밀려 왔지요
이윽고 스님은 암자옆 숙소에 묵고 있는 과부를 찾아가 수작을 걸었어요 "보살님! 주무시는지요?" "아직이온데 어쩐일이신지요 스님? ..." "밤이 고적한데 심심하니 불심이나 나눌려구요" "그러시군요 ~ 어서 들어
오시지요" 과부는 다른날 같았으면 벌써 누구 품엔가 안겨 운우지락을 나누었을 좋은밤이지만 때가 때이고 날이 날인지라 끓어 오르는 욕정을 꾹꾹 억누르고 있던 참에 비록 까까머리 중이지만 건장한 체구에 훤한 외모가 맘에 들었어요
또 한편으로는 속세를 떠난 중과의 운우지락을 생각하니 야릇한 흥분이 되기도 했지요 선탄스님은 오랜만에 느껴보는 과부의 향기가 성욕을 자극하는데 산전수전 다 겪은 바람난 과부임을 아는지라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본론으로 들어가 음란한 시 한수를 지어 들려주었어요 보살님의 아리따운 모습 참으로 아름답도다
다정하고 교태스런 모습 또한 천하 제일 이구나 달빛은 저리도 고고한데 깊고깊은 정을 나눈다면 얼마나 좋을꼬? 그러자 과부가 웃으며 말하였어요 “스님은 여자를 다룰줄도 아시나봐요? ” 선탄은 당연하다는 듯 점잖게 대답했지요“허허 물론이지요~ 다만 하지 않을뿐이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요 옛날 부처님의 큰제자인 아난(阿難)도 마등(摩登)이라는 여자와 통정을 한적이 있지요”
과부가 재미있다는 듯 요염한 눈빛을 보내며 말하였어요 “그럼 스님께서도 음사(陰事)의 재미를 아신다는 말씀인가요?” 이에 스님은 노골적으로 대답했어요 “선가에는 극락세계가 있지요 여자의 치마를 벗긴뒤 엉덩이 아래 깊은골짜기에' '물오른 음호(陰戶)를 관통하면 극락의 재미가 그 가운데 있는 것이지요 그것이 소위 말하는 극락세계(極樂世界)가 아니고 무엇이겠는지요?” 이 말을 들은 과부는 차츰 마음이 동(同)하여 군침을 삼키기 시작 했어요 바람난 남여가 깊은산 암자에 단둘이 있다는것과 작은 방안에 바람끼 있는 남여가 단둘이 있었으니 사단이 날수 밖게 없지요 “호호 ~스님은 까까머리 중이신데 아는것도 많으시네요”
그러자
선탄이 곧바로 응수를 했지요 “보살님은 어찌하여 소승의 윗대가리만 알고 아랫대가리는 모르시는지요?” 여기에 이르자 과부는 몸을 비비꼬기 시작 했어요 "호호 그래요? 스님의 아랫대가리는 어떻게 생겼을가요? 호호" "허허 그러시면 소승이 아랫대가리를 보여 드리리다" 그러면서 슬며시 다가가 과부의 개미같은 허리를 끌어 앉자
"호호 보여주는것도 좋지만 그 맛이 어떨런지 궁굼하네요 호호" 하면서 다리를 벌리고 두러눕자
“그럼 보살님이 원하시는 그 신비한 맛부터 느끼게 해 드리지요" 하면서 속곳을 벗기고 옥문앞에
당당하게 도달하여 인정사정 봐주지 않았지요 물오른 두 연늠이 산사가 떠나가라
운우의 극치를 느끼며 앞치락 뒤치락 끝과 끝의 경계를 넘나들다 스님의 배위에 올라타 요분질을 치던
과부가 말하였어요 가뿐 숨을 몰아쉬며 “스님이 나를 속였군요!! 이토록 사람을 죽게 만드니 어찌 스님으로서 할 일이란 말인가요?" "허허 그런가요? 이또한 자비를 베푸는 선도의 길이 아닐런지요?" 아무튼 천지개벽을 하듯 요란하게 통정을 끝내고 슴가쁜 과부가 평온을 되찾았을때 선탄스님이 태연하게 말하였어요 “
불법이란 참으로 신통한바가 있어 인도환생(人道還生)케 하는지라 사람을 죽게도 할수있고 다시 살게도 할수있는 것이지요 나무관세음 보살 ..." 이리하여 한밤을 꼬박 새우고 그 다음날까지 운우지락을 즐겼다 하지요 쌍천(雙泉) 성여학 편찬『속(續) 어면순』편에 있는 내용이지요